1. 저장소 만들기 (git init)
❓ 명령어 입력
- 명령어 종류 및 설명
- mkdir (디렉토리이름)
- 디렉토리 생성
- cd (이동하고자 하는디렉토리)
-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
- touch (파일 이름)
- 빈 파일 생성
- echo "[글자]" >> [파일]
- 파일에 해당 글자 추가
- mkdir (디렉토리이름)
- 명령어 입력
mkdir sample
cd sample
touch red orange
echo "빨강" >> red
echo "주황" >> orange
git init
❓ 출력 결과
- sample 디렉토리에 Git 저장소 생성
- 디렉토리 하위에 .git 디렉토리 생성 - Git과 관련된 정보 저장
- 이때 sample디렉토리> 보기 메뉴 > 숨긴파일 체크 시 git 파일이 보인다
- 쉘 프롬프트가 ➜ sample에서 ➜ sample git:(main)로 변경
2. 현재 상태 확인 (git status)
❓ 명령어 입력
- zsh 단축어: gst
- ohmyzsh설치 후 사용 가능하다
- git bash에 들어가 zsh 입력 후 사용 가능하다
- 명령어 입력
git status
❓ 출력 결과
On branch main
No commits yet
Untracked files:
(use "git add <file>..." to include in what will be committed)
orange
red
nothing added to commit but untracked files present (use "git add" to track)
- 현재 브랜치 확인 → On branch main
- 커밋 상태 확인 → No commits yet
- Untracked files(추적하지 않는 파일) 존재 확인
3. 현재 상태 추적 (git add)
❓ 명령어 입력
- 명령어 설명
- 파일의 변경 사항을 인덱스(=Staging Area)에 추가
- git은 commit 전에 인덱스, 즉 Staging Area에 커밋할 파일을 추가한다
- 자세한 사항은 Git_1 참조
- zsh 단축어로 git add -A는 gaa사용
- 명령어 입력
- -A 옵션을 이용하여 전체 파일(orange, red)을 인덱스에 추가
- 상태 확인
git add -A
git status
❓ 출력 결과
On branch main
No commits yet
Changes to be committed:
(use "git rm --cached <file>..." to unstage)
new file: orange
new file: red
- Untracked files의 변경
- use "git add <file>..." to include in what will be committed 이 use "git rm --cached <file>..." to unstage로 변경
- orange와 red에 대해서 new file임을 알려줌
5. 기본 명령어 - 현재 상태 저장 (git commit)
❓ 명령어 입력
- zsh 단축어: gc -m “v1 commit”
- 명령어 설명
- Staging Area에 추가된 변경사항을 이력에 추가함
- -m 옵션: 커밋에 대한 메시지 작성
git commit -m "v1 commit"
❓ 출력 결과
[main (root-commit) 25354ae] v1 commit
2 files changed, 0 insertions(+), 0 deletions(-)
create mode 100644 orange
create mode 100644 red
커밋 생성!
'Development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_1] Git 기초 지식 (Introduction of Git) (0) | 2022.10.06 |
---|